저자명김도혜
논문명

교육 수혜자에서 초국적 청년 이주자로

–해외 유학생 연구 동향을 통해 본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연구의 과제와 추진 방향-

학술지명다문화콘텐츠연구
권호,쪽번호31, pp.39-68 (30 pages)
발행일2019.08.31



[논문 초록]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영어로 발간된 해외의 유학생 관련 연구를 살펴국내 유학생 이주 패턴과 인구학적 특성에 부합하는 연구 주제와 방향을도출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학생 이동성과 학생 이주에 관한 연구를 분석한 논문들을 참고하여 주제별로 기존 연구를학생 이동의 원인, 유학생 경험, 유학의 결과에 관한 연구로 나누고 기존연구가 어떤 논쟁을 통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오고 있는지 살핀다. 이를국내 유학생 연구 동향에 비춰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이주 특성에 맞게 앞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연구 과제를 제안한다. 학생 이주는 전통적으로 남반구에서 북반구로의 이주 패턴의 하나로 이해되어 왔고 사회경제 특권층의초국적 계급 재생산 활로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유학 목적지와 이주 패턴, 이주 동기가 다양해지고 있는 오늘날 학생 이주의 특징에 맞춰 최근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유학을 유발시키는 원인, 유학의 경험 및 그결과를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국으로의 유학 사례는 이러한 연구 경향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한국으로의 유학은 아시아 간(inter Asian) 이주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특권층의 엘리트 유학으로만 이해되기 어려운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이 중요 아시아 출신 유학생 유입국으로 부상하게 된 원인을 한국뿐 아니라 주요 유입국의 정치, 사회, 경제적 배경에 비춰분석하여 한국이 이들 학생 및 가계에 어떤 욕망의 대상이 되는지 살펴볼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아시아 간 학생이주가 전통적인 유학생 연구에비추어 어떤 형태와 특징을 가진 이주인지 밝힐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이 주로 중저소득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이라는 점에 기반하여‘학생’으로서의 경험뿐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부모 등 이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해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해외의 연구들이 유학생을 학생인 동시에 청년 이주자로 설정하고 이들의 변칙적인 초국적 이주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한국의 외국인유학생 연구에서도 이들이 한국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문화자본을 축적하며, 졸업 이후 어디서, 어떻게 자신들의 문화자본을 활용하고있는지 탐색해보는 연구를 진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literatures on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ISM) and the lives of international students published in English since 2000 in order to provide several research suggestions to expand the existing studies regardi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By drawing on existing literature review articles, this study classifies the literatures by topics and reveals how the literatur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several key debates among the researches.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has been traditionally understood as the form of transnational migration from the global South to the North and identified as one of the ways for class reproduction that privileged middle class households can take advantage of. Nonetheless, by highlighting diversified patterns and directions of student mobility, the recent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demonstrate how such diverse forms of student mobility were created and what the outcomes of such various patterns of ISM. As student mobility to Korea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such diversified patterns of student mobility, this study suggests several research agendas. First, because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 were mostly from neighboring Asian countries, particularly from post-socialist, developing economies, studies on motivations would contribute to highlighting how Korea emerged as a desirable destination for such people from specific Asian countries and how such inter-Asian migration differed from the traditional global South to North migration. Second, based on the fact that most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from developing economies, it suggests more studies on their multiple roles, such as laboring and parenting. Third, as recent studies in Anglosphere spotlighted student migrants not simply as students but as transnational youth migrants, who frequently move various national borders, it suggests studies on how graduates from Korean universities utilized their cultural capital while moving different places.




원문 바로가기 클릭 - 교육 수혜자에서 초국적 청년 이주자로 –해외 유학생 연구 동향을 통해 본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연구의 과제와 추진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