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위논문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한국어 교육 전공 유학생의 학위논문 심사본 분석을 통해 학위논문 쓰기 교육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1년까지 연구 논문 53편과 외국인 대학원생 학위논문 심사본 20편을 분석하였다. 학위논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전공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을 비교하는 방식의 연구 비중이 높은 편이다. 장르 분석을 통해 논문 구조의 특징을 밝히고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학술 표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서론과 선행연구 분석의 연구 비중이 다른 구성 요소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학위논문 심사본 분석 결과 종결 표현, 완화 표지, 담화 표지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고 같은 유형의 표현이 반복해서 사용되거나 학위논문에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 나타났다. 향후 연구 과제로 학위논문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외국인 대학원생이 학위논문 작성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 표현 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학위논문 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egree thesis research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tasks of degree thesis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degree thesis reviews by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53 research papers and 20 foreign graduate student degree papers were analyzed from 2006 to 2021. Degree thesis research has a high proportion of research by comparing degree papers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genr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sis structure were revealed, and the typical academic expression was analyzed, and the proportion of research in introduction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mpon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hesis review, the termination expression, hedges, and discourse marker did not appear in various ways, and the same type of expression was repeatedly used or inappropriate for the thesis.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research on each component of a thesis is needed, and it was suggested that foreign graduate students should diagnose problems through language expression research used in the process of writing a thesis and seek ways to educate them to write a thesis.

저자                               이지영 (상명대학교)


발행기관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인문사회 21

                                      제13권 제1호 

                                      667 - 680 (14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