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원 과정 유학생의 학술 텍스트에 나타난 학술적 언어사용역(academic register)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학술 텍스트는 학문 담화공동체와의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작성되는 것으로 전공 분야에서 요구하는 양식을 따라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국인 석사과정 유학생이 작성한 기말 논문 10편을 분석하여보고서가 학술적 언어사용역에 맞게 작성되었는지를 국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학술 텍스트가 일반적인 글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고 전공 분야에서 요구하는 형식을 갖추어 격식적 문어체로 논문을 작성하고 있었으나, 문어체와 구어체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평균 18어절당 1개의 오류가 나타났는데 그중 비학술적 어휘를 사용한 오류가 가장 많았고(27.6%), 문장성분 생략(20.9), 부적절한 문장길이(12.3%), 종속접속문 오류(9.0%), 구어체 부사(7.6%), 직설적 표현(6.1%), 피동구문 오류(5.3%), 줄임말 사용(4.2%), 구어체 어미(3.0%), 주관적 서법(1.7%), 구어체 조사(1.3%), 필자 지칭 오류(0.5%), 단형 부정문 사용(0.3%) 등이 나타났다. 주요 오류 양상을 살펴보면 한국어의 학술어휘가 대부분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어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중국식 한자 표현을 학술어휘라고 생각해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음으로 조사나 필수적인 내용어, 문장과 문장을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접속사 등의 문장 성분을 생략하는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또 종속접속문을 학술적 언어사용역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필자의 주장을객관화⋅간접화하거나 유연화하는 피동구문, 추측 표현, 가능성 표현, 선택형 표현 등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오류가 많이 나타난 항목을 중심으로 외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학술논문 쓰기 교수 및 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ademic register shown in the academic pap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graduate schools in Korea. Academic papers are prepared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with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must follow the form required by the major field.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10 academic papers written by Chinese master’s students and reviewed whether the report was written according to academic register.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recognized that academic text was different from general text, and they were writing papers in formal written language in the form required by the major field, but they often failed to distinguish between written and spoken styles. There were 121 errors per 2,158 words on average, and among them, the most common error was using non-academic vocabulary(27.6%). In addition, sentence component omission(20.9), inappropriate sentence length (12.3%),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 error (9.0%), colloquial adverb (7.6%), direct expression (6.1%), passive voice usage error (5.3%), abbreviation (4.2%), colloquial ending (3.3%), subjective expression (1.7%), colloquial postposition (1.3%), self-referential expression errors (0.5%), and short form negation use (0.3%) were found. Looking at the major errors, most of the academic vocabulary in Korean consists of SinoKorean, so Chinese students often mistakenly used Chinese expressions as academic vocabulary. Next, there were many errors in omitting sentence components such as postpositional particles, essential content words, and conjunctions that naturally connect sentences and sentences. In addition, foreign students often did not recognize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 as academic register, and in many cases they were unable to properly use passive phrases, conjecture expressions, possibility expressions, and optional expressions that objectify or soften the author’s argu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professors to focus on items that are prone to errors when teaching international students or training them to write a thesis.

저자                               최지영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영주어문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영주어문

                                      제50권 

                                      437 - 461 (25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