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먼저 국내 대학 기관에서 사용되는 6종의 글쓰기 교재를 분석한 결과, 여러 글쓰기 교재에서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텍스트나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교재에 글쓰기 기술과 전략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를 내재화시키기에는 연습이 적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외국인 학부생 185명을 대상으로 대학 글쓰기에 대한 교육 요구를 조사한 결과, 한국어 중급과 고급, 즉 한국어 수준에 따라 대학에서 주로 수행하는 글쓰기 과제와 학습이 요구되는 글쓰기 과제 유형에 차이가 있었으며 선호하는 글쓰기 기술과 교재의 출판 형태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 분석과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부생 대상으로 한국어 수준에 따른 글쓰기 교재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먼저 글쓰기 교재는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표현 능력과 더불어 인문학적 소양 증진, 비판적 사고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교재는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 내용을 제공하고, 학문적 담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학술적 글쓰기 능력과 학문적 텍스트 생산에 필요한 절차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하며, 디지털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교재로 출판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중급과 고급 수준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재의 교수요목과 단원 구성, 쓰기 활동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We analyzed six types of college writing textbooks and found that texts and activities in them did not fully reflect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little practice to internalize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In addition, need analysis was conducted for 185 foreign students. As a result, the educational needs for college writing differed according to Korean proficienc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eed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in the writing tasks mainly performed at university, the types of writing tasks that require learning, the preferred writing skills, and the publication type of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et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Korean proficiency. The writing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academic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hey also should provide customized educational content suitable for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should be able to cultivate academic writing skills required by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procedural knowledge required for an academic text production. Moreover, the writing textbooks should be published for a digital environment.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syllabus, unit composition, and the examples of writing activities in writing textbooks for the students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of the Korean proficiency.

저자                               장미정 (고려대학교)

                                     유민애 (서울대학교)

                                     오선경 (고려대학교)

                                     박정은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민족어문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어문논집

                                     제96호

                                     281 - 314 (34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