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 대학은 지난 20여 년간 국제화 정책을 통해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유학생이 유입되며 한국 사회에서 문화적, 인종적 다양성이 높은 공간이 되었다. 서로 다른 특성과 국제화 전략을 가지고 있는 네 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외국인 유학생 현황과 주요 언어 정책에 관한 문서 자료와 14회의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다중언어 표지를 지리기호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국제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학일수록 언어 정책에서 영어의 중요성이 높았으나, 언어경관에 있어서는 대학 유형과 상관없이 영어의 위세가 강했다. 다중언어 표지는 학교 당국이 정보제공과 명령의 목적으로 생산하고 고립된 공간에 세련되지 못한 물질성으로 전시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향식 혹은 표현적 기능을 가진 다중언어 표지는 소수였으며, 혼종적 언어 사용은 일상적인 다문화주의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화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 증가가 다중언어 사용의 확산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며, 다양성 있고 포용적인 다중언어 정책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undergone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nto culturally and ethnically diverse spaces due to the increasing influx of international students, driven by institutional efforts toward internationalization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tudy, four universities with distinct types and internationalization policies were selected. Through multiple fieldwork, documents regarding the demographic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language policies, and multilingual signage in and out of campus were collected. The analysis reveals that, regardless of the university types, English signage emerged as the dominant linguistic landscape. Multilingual signs were identified, but they often exhibited low material quality and were strategically placed in specific locations. The prevailing multilingual signage primarily served top-down, informative, and directive functions. A limited number of bottom-up, expressive, and translingual signs were only observed in areas where everyday multiculturalism was allowed and experienc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re increase in cultural and ethnic diversity within these institutions does not automatically result in linguistic diversity. In conclusion, this paper underscores the need for deliberate efforts to enhance linguistic diversity within internationalizing South Korean universities.


저자                               장인철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발행연도                        2024


형태사항                        인문학연구

                                     제58호

                                     51 - 96 (46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