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근대 초기 조선인 유학생들의 이동의 방향성은 대체로 (식민지) 조선의 고향을 떠나 제국 일본의 도쿄로 향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이동의 과정 속에서 야만/문명, 시골/도시, 식민지/제국이라는 이분법적으로 위계화된 공간 질서를 경험하고 감각하게 되었다. 유학생으로서 국가의 발전과 민족의 계몽, 개인의 성장이라는 목표를 지니고 도쿄로 이동했던 그들은 그곳에서 근대의 문물을 접하고 경탄하는 동시에 바로 그것을 통해 자신들의 의지를 강화해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동시에 일본인의 동양(인)에 대한 차별과 멸시의 사회적 풍조 속에서 배제되고 소외된 상태에 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불안과 우울을 느끼면서 자기만의 장소에 침잠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때 조선인 유학생들은 식민지인으로서 자신들을 둘러싼/관통한 경계를 체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한편, 조선인 유학생들이 자신을 둘러싼/관통한 경계를 보다 명확히 자각하게 된 계기는 제국 일본의 도쿄에서 식민지 조선의 고향으로 되돌아오는 과정 속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염상섭의 「만세전」의 서사는 도쿄 유학생의 월경의 과정을 서사화하면서 망각하고 있었던 식민지 조선인으로서의 자기와 조우하고, 조선의 참상을 목도한 뒤 식민지 조선을 벗어나고자 하는 주체의 월경의 욕망을 보여준다. 비록 그의 월경의 욕망은 제국주의적 권력의 경계 앞에 차단당하지만 제국의 통치권역을 초과해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였다.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the early modern era was to leave their hometown in (colonial) Korea and head to Tokyo in imperial Japan. And in the process of such movement, they experienced and sensed the dichotomous hierarchical spatial order of barbarism/civilization, countryside/city, and colony/empire. As international students, they moved to Tokyo to put into practice their will for national development, national enlightenment, and personal growth. There, they were able to encounter and admire modern civilization and at the same time strengthen their will again through it.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were excluded and alienated from the social trend of discrimination and disdain for Asians by Japanese people. As a result, he felt anxious and depressed and retreated to his own place. And at that time,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could not help but feel the boundaries surrounding/penetrating them as colonial subjects. Meanwhile, the opportunity for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to become more clearly aware of the boundaries surrounding/penetrating them occurred primarily during the process of returning from Tokyo, Imperial Japan, to their hometown in colonial Joseon. The narrative of Yeom Sang-seop's “Mansejeon” narrates the process of crossing the border as a student studying in Tokyo, encountering the forgotten self as a colonial Korean, and showing the subject's desire to cross the border to escape colonial Joseon after witnessing the horrors of Joseon. Although his desire to cross the border was blocked by the borders of imperialistic power, it also had the potential to go beyond the empire's ruling area and advance into the world.

저자                               오태영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동악어문학회


발행연도                        2024


형태사항                        동악어문학

                                     제92호

                                     131 - 164 (34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