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이들 유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Esser(2001)가 제시한 ‘문화적응’, ‘지위부여’, ‘상호작용’, ‘동일시 또는 일체화’의 네 가지 사회통합 범주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문화적응 단계에서는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학업을 목적으로 이주하였다. 이들은 한국어를 기회의 언어이자, 꿈의 언어라고 하였다. 또한 학교, 지역사회에서 아르바이트 등을 하면서 경제활동을 통한 인적자본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지위부여 단계에서는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합법적 권리를 행사를 통해한국의 제도적 권리 행사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지역사회에서 한국인 또는 다른 국적 유학생들과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등 공존과 상생의 사회통합 과정을 보이고 있었다. 상호작용 단계에서는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을 하면서상호작용을 하고 있었다. 모국과의 문화 차이를 경험하면서 문화적 자본을 형성하기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3의 문화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동일시 또는 일체화 단계에서는 한국사회의 공동체적 가치에 대한 동의와 시민의식을 내면화하면서 국적 취득을 통한 소속감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단계에서는 교육과 정보 제공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지위부여 단계에서는 유학생들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one-stop service)센터 같은 생활 정보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상호작용 단계에서는이들의 모국 문화적 자본을 공유할 수 있는 다문화이해 및 사회통합교육 등이 필요하다. 넷째, 동일시 또는 일체화 단계에서는 이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향후 한국어교육 학위과정 유학생의 사회통합 경험에 관한 다양한 제안을 기대한다.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se 9 international students and analyzed cases. The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ur social integration categories suggested by Esser (2001), ‘cultural adaptation’, ‘granting status’, ‘interaction’, and ‘identification or integr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ultural adaptation stage, they migrated for academic purposes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Korea. They called Korean the language of opportunity and dream. In addition, they formed human capital through economic activities while working part-time at schools and communities. In the status-giving stage, they also experienced the exercise of institutional rights in Korea through the exercise of legal rights at schools or communities. They were showing the process of social integration of coexistence and win-win, such as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with Korean or international students from other nationalities in the community. In the interaction stage, they were interacting while working on social networks in schools or communities. While experiencing cultural differences with their home countries, they formed cultural capital, and in this process, they experienced a third culture. In the identification or integration stage, consent to the communal values of Korean society and citizenship were internalized, expressing a sense of belonging through the acquisition of nationality. The suggestion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ultural adaptation stage,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s are required. Second, in the status-giving stage, international students need support for living information such as a one-stop service center. Third, in the interaction stag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are required to share the cultural capital of their home country. Fourth, in the identification or integration stage, various policy support is needed so that they can settle stably.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various proposals on the social integration experie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gree program.

저자                               허숙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안근재 (제주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발행연도                        2024


형태사항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제13권 제2호 통권 52호

                                     393 - 425 (33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