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이 연구는 조선 최초의 여성잡지인 『女子界』를 통해 당대 유학생이 신사상에 반응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특히, 근대 초기 유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신사상의 수용과 오독``, ``관념어의 습득``에 대해 고찰한다. 당대 여성의 주체 구성 문제는 자유와 평등을 주장하는 사회적 ``분위기`` 혹은 신사상이라는 ``범주``에 대한 반응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응은 담론에 대한 편입과 일탈의 문제를 담지한다. 이때, 『여자계』에는 담론의 ``범주성``과 그 범주로부터의 일탈이 가져온 ``오독 혹은 오해``, 그리고 그 오독이 가져온 ``윤리적 감정``의 표출이 나타난다. 일본 유학 시기 신사조를 접하고 이를 조선의 상황에 재조명하는 유학생들의 의식에는 중심 담론을 향한 ``편입욕망``과 중심으로부터의 일탈이 가져올 ``불안의식``이 공존한다. 지식인으로서의 불안의식은 필자인 유학생들에게 자신이 신사조의 오독자가 아님을 강조하는 글쓰기의 원인이 된다. 유학생들의 글에는 ``誤解, 誤讀, 誤信``과 같은 단어들이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그들은 신사상의 오독을 통해 조선의 여자해방을 주장하는 ``오독의창조성``을 보여준다. 일본 유학을 통해 신문명이라는 범주를 경험한 유학생은 그 범주로부터 일탈한 조선여자에게 거리감을 느낀다. ``행복한 우리들과 불쌍한 저네들``의 수사는 ``수치심의 전이``를 동반한다. 기독교적 사명 하에서 여자 유학생들은 조선의 교육받지 않은 여성들에게서 헬렌 켈러의 신체적 결여성을 겹쳐본다. 그리고 설리반 선생에게 ``추상적 개념어``들을 배우던 헬렌 켈러의 상황을 환기하며, 자신들이 조선 여성들에게 신문명의 관념을 가르치는 ``문화적 매개``의 역할을 할 것이라 자처한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우정과 열정이라는 ``관념어의 체계``를 통해 ``민족의 근대화``를 발화한다. 또한, 루소 사상의 수용을 통해 ``자연``의 상태, ``상상력``의 상태에서 예술을 창조하고, 그 예술을 통해 자기 해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여자계』는 신사상의 수용과 유학생의 집단의식을 통해 조선 여성들에게 ``감정과 욕망의 발현-자아의 각성-여성 해방-근대 문명``의 관계성을 드러낸다. 그리고 여성해방이라는 근대화의 사명 속에서 여성의 교육과 글쓰는 행위가 제도화되어 가는 시작점을 보여준다. 유학생들은 ``시대적 윤리``와 ``여성적 직분``이 교차하는 자리에서 자신의 사명을 찾는다. 그리고 기독교적 수사와 비유를 통해 여자해방의 이상을 제시한다. 식민지 조선의 여성이라는 이중의 억압 속에서 유학생들은 여자해방사상에 반응했고, 신사상의 오독과 그 오독의 창조적 연쇄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언어화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spect that modern students studying abroad react through Joseon`s first women`s magazine Yeojagye. Students studying abroad met with new trend of thought and reflected situation of Joseon in the period of studying abroad, they had a desire for central discourse and uneasiness of departure from center. The uneasiness of intellectual became factor of writing that emphasized the oneself was not person whom misread new trend of thought. However, writers of Yeojagye showed ``creativity of misreading`` that asserted Joseon women`s liberation through misreading of new trend of thought. Students studying abroad experienced the category of new civilization through Japan, felt distance not admitting Joseon women in the category. The rhetoric, ``happy us and poor them``, accompanied ``a sense of shame`s transfer``. The Joseon women`s uneasiness changed a sense of shame through meeting with new civilization and the sense of shame`s revelation was connected with the discovery of a new great cause. Students studying abroad had left mother country to look upon oneself as the mediator between educated women and noneducated women, they prepared a unified group`s spirit. At This time, the matter of importance is a fact that they commonly discovered their mission in ``a wish of God``. In this christian mission, women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overlapped noneducated women and Helen Keller`s physical lack. They aroused Helen Keller learned ``abstract concept word`` from Sullivan, they looked upon oneself as ``the cultural mediator`` would teach new cultural notion to Joseon women. Also, they presented possibility of created arts in condition of ``nature`` and ``imagine``, and possibility of realized self liberation in arts through acceptance of Rousseau`s idea. Yeojagye indicated connection of ``revelation of emotion and desire-awakening self-women liberation-modern culture`` through acceptance of a new idea and group`s sprit of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it showed starting point that women`s educatin and writing systematized in mission of modernization called women liberation. Students studying abroad discovered the mission on a place crossing ``moral of times`` and ``feminine duty``. Writers could not help resisting against a male dominated discourse in process of forming and systematizing of notion titled ``women`s liberation``. Students studying abroad reacted to idea of women`s liberation under the double suppression named Joseon women of a colony, they had to verbalize the inside themselves in a misreading of new ideas and creative link of the misreading.